여유롭고 행복한 하루

꽃 ·나무 이야기

무궁화

전승기 2016. 7. 3. 18:04



무궁화



전주 던진공원

2016. 7. 3(일)


















무궁화


온대지방에서 여름에 피는 꽃나무는 거의 없는데, 이 꽃은 7∼10월에 약 100일 동안 계속하여 화려한 꽃을 피운다. 홑꽃은 반드시 이른 새벽에 피고 저녁에는 시들어서 날마다 신선한 새 꽃을 보여준다. 정원수·분꽃·생울타리 등 다방면에 심어 가꿀 수 있다. 번식은 주로 꺾꽂이나 접붙이기 등 영양번식에 의한다.

종자도 많이 달리고 발아도 쉽게 하지만, 자가불화합성식물(自家不和合性植物)인 관계로 육종을 목적으로 하는 이외에는 실생으로서는 기대하는 꽃을 피울 수가 없다. 양수(陽樹)인 까닭에 일조(日照)를 대단히 좋아하므로 양지 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너무 습하거나 건조한 땅은 적당하지 않다. 꺾꽂이의 발근율과 접붙이기의 활착률이 매우 높다.

씨를 뿌려서 2년쯤 가꾼 다음 목적하는 품종의 눈접[芽接]을 하면 단시일에 대량번식생산을 할 수가 있다. 씨뿌림은 가을에 씨앗을 받아서 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뿌린다. 비배관리는 일반 정원수와 같이 하면 된다. 가지가 몹시 많이 나오므로 가지를 쳐주고, 봄에는 새 가지를 적당히 발생시켜서 좋은 꽃을 보도록 한다.

광선·온도·습도를 적절히 맞추어 주면 온실이나 실내에서 연중 계속해서 꽃을 피울 수 있다. 무궁화는 울타리나 정원수로만 재배하여 왔으나 분가꾸기도 쉽고, 모양이 아주 좋게 된다.

무궁화는 꽃의 밑에 꽃대가 있어 그 위에 꽃받침이 있고 5개의 꽃잎이 있다. 꽃잎 위에 씨방이 있고 씨방에서부터 암술이 곧게 위로 뻗쳐 암술머리가 5개 있다. 암술대 주위로 수술이 돋아나는데, 암술대 주위로는 20∼40개의 수술이 생겨 암술대를 싸고 있다. 이러한 것은 홑꽃의 기본형으로 암술대 주위의 수술이 꽃잎으로 변하여 반겹꽃·겹꽃으로 분화가 일어난다.

홑꽃은 꽃잎이 5개로 꽃잎의 크기, 벌어지는 각도 등에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반겹꽃은 수술의 일부가 꽃잎으로 변한 것으로 꽃의 크기는 7∼12㎝까지, 꽃잎의 수는 30∼53매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겹꽃은 수술과 암술이 모두 꽃잎으로 변한 상태를 말한다. 암술의 변화 정도에 따라 겹꽃도 세분되는데 꽃잎의 수는 40∼95매까지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상은 무궁화꽃의 겹꽃 정도에 따른 꽃모양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고, 다시 꽃색깔의 종류와 분포로써 분류할 수 있다. 꽃색깔은 순백색(純白色)의 꽃과 순백색 이외의 꽃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순백색 이외의 무궁화는 전부 화심부(花心部)에 붉은색을 가지고 있어 우리 나라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단심(丹心)이라 불러왔다.

그러나 무궁화는 단심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단심을 가지고 있으면서 꽃잎 한 옆으로 붉은색의 띠를 가지고 있는 것도 있다. 이 때문에 색깔의 분류도 크게 나누면 순백색, 단심을 가지고 있는 것, 단심을 가지고 있으면서 붉은색 띠무늬를 가지고 있는 것 등 3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배달계·단심계·아사달계라 부른다.

배달계는 홑꽃으로 배달·소월(素月)·옥선(玉仙)·옥토끼·한서(翰西)와 같은 품종이 있고, 반겹꽃으로는 눈뫼·사임당(師任堂)·꽃뫼와 같은 품종이 있으며, 겹꽃으로는 새한·눈보라 등의 품종이 있다.

단심계는 단심이 방사형(放射形)으로 퍼지는 정도에 따라 다시 세분되나 크게는 꽃색깔에 따라 흰색 바탕에 단심이 든 것을 백단심(白丹心), 분홍과 붉은색 바탕에 단심이 든 것을 홍단심(紅丹心), 자색이나 청색 바탕에 단심이 든 것을 청단심(靑丹心)이라 부른다.

백단심에 홑꽃으로는 일편단심(一片丹心)·화랑·새빛·한얼단심 등의 품종이 있고 반겹꽃으로는 한누리·한얼과 같은 품종이 있으며, 겹겹꽃으로는 설악(雪岳)·설단심(雪丹心) 등이 있다.

홍단심 중의 홑꽃으로는 홍단심·수줍어·영광·춘향·에밀레·한사랑·불꽃·새아씨·홍화랑·님보라·계월향 등이 있고, 반겹꽃으로는 산처녀·아사녀·홍순(紅盾) 등이 있으며, 겹꽃으로는 첫사랑·늘사랑·루시·폼폰로즈 등이 있다. 청단심(靑丹心)에는 진이·파랑새·자선(紫仙) 등이 있으며, 아사달계로는 아사달·평화(平和)·바이칼라와 같은 품종이 있다.

한편,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조생종(早生種)·조중생종(早中生種)·중생종·중만생종(中晩生種)·만생종으로 나누고, 자라는 습성에 따라 직립고성(直立高性)·직립중성(直立中性)·직립왜성(直立矮性)·수양고성·수양중성·수양왜성으로도 나눈다.




'꽃 ·나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상자 (진들개미나리)  (0) 2016.07.08
연꽃  (0) 2016.07.03
남천  (0) 2016.07.03
맥문동  (0) 2016.07.03
수세미꽃  (0) 2016.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