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롭고 행복한 하루

생각 꾸러미

간지 (干支)

전승기 2014. 12. 30. 13:14

 

 

간지 (干支)

 

- 10간과 12지 또는 간과 지를 배합하여 만든 60개의 순서를 나타내는 말.

 

 

 


10간 12지라고도 한다. 동양적 세계관에서 비롯되었으며, 우주만물은 주역의 이치에 따라 순행함을 나타낸다. 10간 12지는 일찍이 중국에서 들어와 정착된 이래 한국 민족문화의 근저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결혼·안장(安葬)·이사 등의 날을 잡는 일로부터 운세에 이르기까지 민간신앙의 형성·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심지어는 농사짓는 적당한 시기를 선정하는 농사력(農事曆)조차 간지에 의존하였다.

중국이나 한국뿐만 아니라 동방의 여러 나라에서 숫자나 방위개념을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근거로 이용되어왔으나 서양으로부터 양력이 들어옴에 따라 급격히 쇠퇴했다. 간지의 기원은 중국이지만, 한국의 간지는 나름대로 주체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중국의 간지와는 약간 다르다. 간지는 잘못 이용되어 좋지 않은 방향으로 오도되기도 했으나, 한국 민중들의 일상적 세계관 속에서 끊임없이 전승되어 왔으며, 그 영향력이 상당히 쇠퇴한 오늘날에도 궁합이나 이사 등의 문제에 많은 사람들이 간지를 믿고 있다.

10간은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이며, 12지는 자(子:쥐)·축(丑:소)·인(寅:호랑이)·묘(卯:토끼)·진(辰:용)·사(巳:뱀)·오(午:말)·미(未:양)·신(申:원숭이)·유(酉:닭)·술(戌:개)·해(亥:돼지)이다. 간지는 주로 연·월·일·시를 나타낼 때 쓴다. 간이나 지만으로 시간 특히 해를 나타내기도 했으나, 대개 60간지를 그 차례에 따라 붙여가면서 이용하였다. 10간은 날짜를, 12지는 달 수를 세기 위해 만들었다.

4세기 이후 음양사상(陰陽思想)이 발전함에 따라 간지는 각각 '줄기와 가지', '하늘과 땅', '해와 달', '양과 음'에 대응된 것으로 보았다. 또 오행설(五行說)과 결부되면서 갑·을은 목, 병·정은 화, 무·기는 토, 경·신은 금, 임·계는 수, 인·묘는 목, 사·오는 화, 축·진·미·술은 토, 신·유는 금, 자·해는 수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12지는 12개의 방위신(防衛神)인 쥐·소·호랑이·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와 결부시켜 해석하였다. 간(무·기는 제외)지는 방위를 나타낼 때 이용하기도 하였다. 간지가 가리키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① 자시(子時):23~1시, ② 축시(丑時):1~3시, ③ 인시(寅時):3~5시, ④ 묘시(卯時):5~7시, ⑤ 진시(辰時):7~9시, ⑥ 사시(巳時):9~11시, ⑦ 오시(午時):11~13시, ⑧ 미시(未時):13~15시, ⑨ 신시(申時):15~17시, ⑩ 유시(酉時):17~19시, ⑪ 술시(戌時):19~21시, ⑫ 해시(亥時):21~23시. 간지는 각종 민간신앙과도 결부되었다.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의 간지는 사주라고 하는데, 사주가 그 사람의 운명을 미리 결정한다는 속신도 생겨났다. 혼인의 택일, 남녀의 궁합, 흉일을 피하는 비방, 이사갈 때의 택일이나 방향 결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왕릉이나 대가집의 무덤에도 12지를 상징하는 동물을 조각하여 수호신으로 세워두었다. 경상북도 경주의 무덤에서 출토된 12지신상(十二支神像)은 유명하다.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삼재(三災):인간의 길흉사(수재·화재·풍재·병난·질병·기근 등)를 결정하는 데에 이용하였다. 삼재가 드는 3년 동안에는 인간관계나 모든 일을 꺼리고 삼갔다. 삼재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들어오는 해를 (들), 눌러앉는 해를 (눌), 나가는 해를 (날)로 표기한다. 뱀·닭·소띠는 돼지해에 (들)삼재, 쥐해에 (눌)삼재, 소해에 (날)삼재. 범·말·개띠는 원숭이해에 (들)삼재, 닭해에 (눌)삼재, 개해에 (날)삼재. 돼지·토끼·양띠는 뱀해에 (들)삼재, 말해에 (눌)삼재, 양해에 (날)삼재. 원숭이·쥐·용띠는 범해에 (들)삼재, 토끼해에 (눌)삼재, 용해에 (날)삼재.

② 궁합(宮合):년·월·일·시에서 각각 천간(天干)과 지간(地干)을 찾아내어 오행으로 무엇에 해당하는가를 찾아 인간의 결혼을 점친다. 가령 남과 여의 궁합의 길흉을 '남금여금'(男金女金)은 좋지 않고 '남수여화'(男水女火)는 좋다는 식으로 판정한다.

③ 이사방위(移徙方位):이사할 사람을 남과 여로 구분하여 나이가 몇인가를 안 후 동·동남·남·남서·서·서북·북·북동으로 방향을 결정한다.

④ 길흉일(吉凶日):10악대패일(十惡大敗日)은 무슨 일을 하면 실패하는 날이다. 10악일은 갑진일·을사일·임신일·병신일·정유일·경진일·무술일·기해일·기축일·경인일·계해일·정해일 등이다. 또한 황도일(黃道日)은 좋은 날이고, 흑도일(黑道日)은 불길한 날이다. 천덕월합일(天德月合日)은 모든 살(煞)이 없어진다. 흉일을 피하는 법은 길일을 볼 때와 같으나 다만 띠의 날을 택하는 점이 다르다. 즉 갑·을·병·정 순서가 아니라 자·축·인·묘의 순서대로 날을 택하는 법이 다르다.

간지는 세시풍속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가령 정월 1일은 닭, 2일은 개, 3일은 양, 4일은 돼지, 5일은 소, 6일은 말, 7일은 사람, 8일은 곡식의 날이라 하여 각 날마다 해서는 안될 일과 좋은 일을 구별하였다.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에 나와 있는 것 중 몇 가지만 추리면 다음과 같다.

① 오행점(五行占):새해의 신수를 점친다. 오행에는 각기 다른 점사(占辭)가 있다. 나뭇조각에 금·목·수·화·토를 새겨 장기쪽같이 만들어 이것을 한번에 던져서 엎어지고 자빠진 것으로 점괘를 얻는다.

② 원일소발(元日燒髮):정월의 인일(寅日)에 백발을 태우면 길하다. 상자일(上子日)에 여염집에서는 콩을 볶으면서 주문을 외우는데, "쥐의 주둥이를 태운다"라고 한다. 상해일(上亥日)에는 콩가루를 만들어 세수를 하며, 묘일(卯日)에는 뽑은 실로 액막이를 하고 여자가 들어오는 것을 꺼린다. 사일(巳日)에는 이발을 하지 않는다. 정월 열엿샛날에 대개 거동을 삼간다. 패일(敗日:8일)은 남자들의 출행에 좋지 않은 날이다. 2월 5일·14일·23일을 삼패일이라 하여 이날에는 모든 일에 조심한다.


 

'생각 꾸러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왜 쓰는가? / 김훈  (0) 2015.03.13
벤자민 프랭클린의 12가지 인생 계명  (0) 2015.03.13
배려의 손길  (0) 2014.11.25
<칼럼>생각대로 사는 데 필요한 것  (0) 2014.11.20
축복을 뿌려요  (0) 2014.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