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점수,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어떻게 봐야 할까?
‘원점수’는 말 그대로 각 문항별 배점에 따라 본인이 맞은 개수를 곱해서 나온 점수다. 국어 수학 영어는 100점 만점, 한국사와 사회탐구, 과학탐구는 50점 만점으로 계산된다. 가장 단순하고 쉽게 본인의 실력을 파악할 수 있는 점수이지만 시험의 난이도와 응시한 학생들의 수준이 고려되지 않은 점수여서 정확하게 본인의 위치를 파악하기는 어려운 점수다. 실제 대입에서도 원점수는 활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해당영역 또는 과목에서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점수다. 영역, 과목별 평균과 표준편차로 계산하는데 일반적으로 시험이 어려워 원점수 평균이 낮게 나오면 표준점수는 높아지고, 반대로 시험이 쉬워 평균이 높으면 표준점수는 낮아진다. 표준점수는 국어와 수학은 0~200점 범위이고, 탐구는 0~100점 범위로 산출된다. 표준점수는 원점수와 다르게 만점이라는 개념이 없다. 따라서, 원점수가 100점 만점이라고 해서 표준점수도 만점이라 할 수 없다. 또 지난 번 시험에서 국어 영역 표준점수 135점을 받고, 이번 달 130점을 받았다고 해보자. 수치상으론 점수가 5점 하락했지만 꼭 130점을 받은 시험에서 성적이 떨어졌다고 할 수는 없다. 두 시험의 난이도와 응시집단의 차이를 고려해 상대적으로 매겨지는 점수이기 때문이다.
‘백분위’는 해당 영역, 과목별 응시자 중에서 자신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점수다. 예를 들어, 수학 영역의 백분위가 80점이라고 하면 본인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학생이 전체 응시생 중 80%가 있다는 의미로, 본인은 상위 20%에 해당한다는 의미다.
마지막으로 ‘등급’은 수험생의 점수에 따라 1~9등급으로 나눠 놓은 것이다. 국어와 수학, 탐구영역은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비율에 따라 나눠지며, 영어와 한국사는 원점수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각 과목별 등급 구분 비율과 점수는 아래와 같다.
점수의 의미를 알았다면, 시기별로 우선순위를 살펴보자!
실제 고3 수험생이 된다면 네 가지의 점수 중 의미 있는 점수와 그렇지 않은 점수가 분명히 나눠진다. 수능 성적표에 원점수는 표시되지 않고, 실제 대입에서도 활용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남는데 시기별로 아래와 같이 나눠볼 수 있다.
이제 막 고등학교에 입학한 고1 학생들에게는 점수의 누적관리가 중요하다. 이는 각 시험에서 자신의 점수가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를 한 눈에 비교하고, 살펴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1 때는 백분위, 등급, 표준점수 순으로 우선 순위를 갖는 것이 좋다.
먼저 표준점수는 앞서도 말했듯 상대적으로 매겨지는 점수이기 때문에 135점보다 130점을 맞은 시험이 더 잘 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점수만으로 단순히 성적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등급은 어떨까. 지난 달 시험에서는 3등급, 이번 달 시험에서는 2등급으로 올랐다면 분명 성적이 오른 것이 맞다. 그러나 같은 등급 안에서도 점수 차이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같은 2등급이어도 95점을 받은 2등급, 90점을 받은 2등급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등급으로는 학생들간의 점수 차이를 변별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비해 백분위는 아주 명확하게 성적의 누적 관리가 되는 점수이기 때문에 오는 3월 성적표를 받게 되면 백분위와 등급에 관심을 두고 본인의 성적을 분석하는 것이 좋다.
고등학교에 올라와 이제 첫 모의고사를 마쳤다. 성적표의 결과에 따라 일희일비하기엔 아직 이르다. 이제 시작이라는 마음으로, 차근차근 학업 공부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고교생활과 대입에서 좋은 열매를 맺는 기본임을 잊지 말자.
'대학입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4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 및 해설(과학탐구) (0) | 2016.04.07 |
---|---|
<대입상담>과학 우수자, 광고계열 가려면 (0) | 2016.04.06 |
<대입상담>과학중점 고교에서 SKY 대학 가려면 (0) | 2016.03.14 |
2016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과학탐구 문제 및 해설 (0) | 2016.03.11 |
<대입상담>학생부종합전형 합격의 첫 걸음 “내 꿈을 찾아라” (0) | 2016.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