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오름 트레킹
2023. 4. 2.
♤코스 ;; 매표소~1코스(정상)~2코스(분화구)~3코스(태극코스), (10km)
♤위치 ;; 조천읍 선흘리
♤높이 ;; 해발 456m, 둘레 4551m
###
국가지정 문화재(천연기념물)이며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거문오름 트레킹을 하였다

거문오름 입구...
세계자연유산 지정 기념표식

당일 매표는 안되고
인터넷으로 사전 예약제를 실시하고 있다

거문오름 탐방로는 3개 코스로 나뉜다

1코스는 정상 코스 1.8km, 약 1시간
2코스는 분화구 코스 5.5km, 2시간 30분

3코스 전체코스 10km, 3시간 30분 소요

코스는 자신의 여건에 맞게 선택하면 되겠다

2코스까지는 해설사가 동행하면서 설명을 하면서 진행한다

초입은 삼나무 숲길

벌목한 자리에 이끼류가 생장하고 있다

거문오름 정상의 해발고도는 456m이며
화산체의 비고(比高)는 112m, 둘레 4,551m,
기저 직경 1,188m, 면적은 809,860m²이다.

거문오름 화산체가 열려있는 북북동 방향으로는
길이 2km, 폭 80~150m, 깊이 15~30m의 용암
협곡 또는 붕괴도랑(collapsed trench)이라고
부르는 지형이 발달한다

이 용암협곡은 화산체의 열려진 부분으로 용암이
흘러나오면서 형성된 용암동굴의 천정이 차별
적으로 함몰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주변에는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라고 부르는
지형이 존재한다

이는 거문오름으로부터 분출된 다량의 현무암질
용암류가 북북동 방향으로 지표면의 경사를 따라
해안선까지 흘러가면서 만든 일련의 용암동굴군
이다

선흘수직동굴, 뱅뒤굴, 웃산전굴, 북오름굴,
대림동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
등이 이에 속한다 (다음백과 참고)

정상 전망대

1코스는 삼나무 데크길로 조성되었다

1코스를 벗어났다

2코스로 들어선다

용암 붕괴도랑

삼나무..
일본이 원산인 상록 침엽수.
제주도에는 속성수로 조림용 및 방풍용으로
많이 심어 어디서든지 쉽게 볼 수 있다다.
40m 이상의 큰 키와 4.5m의 큰 둘레, 뾰족한 잎사귀가 특징이다.

나무 뿌리는 깊게 박히지 못하고 옆으로
뿌리내리면서 옆나무와 얽히고 섥혀
비람에도 쓰러지지 않는다고 한다.

콩짜개난...
상록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공중습도가 높은 곳의 바위에
착생하며 주변에 나무가 있어 강한 햇볕을
막아주는 곳에서 자란다

분화구 전망대

일본군 갱도진지

나무 그루터기에 이끼가 신기하게 자란다

숯가마터

수직동굴...약 30m 깊이로 함몰된 곳

신록의 숲길

나무가 열악한 환경에서 살기 위한 전략

회산탄

나무를 감고 올라간 송악

분화구는 덩굴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나무 밑에는 돌이 많아 뿌리를 깊게 내리지 못하고
옆으로 넓게 퍼저 살아간다

연리목... 때죽나무와 ?

삼나무 숲길

2코스와 3코스 분리지점...
2코스른 매표소로 나가고
3코스는 능선을 돌아 나간다

식나무
상록 활엽 관목으로 높이 3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상 달걀형이며
햇빛을 좋아하지 않는 음수이며 내한성에 약하다.

9봉에 도착...

봉우리 마다 이름을 붙여놨다
설명을 덧붙여 놓았으면 좋았겠다

낙타등 능선길을 걷는다

8봉

6봉

5봉

4봉

3봉

2봉까지만 표지판이 있고 1봉은 보이지 않는다
1봉은 정상을 말한단다

그리 길지 않은 시간에 거문오름 트레킹을
마쳤다
4월 말이나 5월쯤에 오면 울창한 신록의 향연을
느낄 수 있을것 같다
###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살기> 노루생태관찰원~숫모르 편백숲길~한라생태숲 트레킹 (0) | 2023.04.03 |
---|---|
<제주살기> 4.3 평화공원 희생자 추념식 (0) | 2023.04.03 |
<제주살기> 애월~곽지(한담)해안산책로 해넘이 (0) | 2023.04.01 |
<제주살기> 산방산의 봄 (0) | 2023.04.01 |
<제주살기> 송악산 둘레길 트레킹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