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최소) 산화수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산화수의 주기성
화합물을 형성할 때 전자를 잃거나 얻어서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배치를 이루려는 경향이 있다(옥텟규칙)
원자의 산화수는 전자배치와 관련이 있으므로 주기성을 나타낸다.
1) 같은 원자라도 화합물에 따라서 여러가지 산화수를 가질 수 있다.
그 원자에 결합하는 원자의 전기음성도 크기에 따라 전자를 잃거나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2) 전자 배치와 관련있는 산화수는 주기성을 나타낸다.
단, 비활성 기체는 화합물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원소의 산화수를 표시함
(1) 최대 산화수 = 원자가 전자수
가장 바깥 전자 껍질의 전자인 원자가 전자를 모두 잃을 때 가장 큰 산화수를 가진다
(2) 최소 산화수 = (원자가 전자수 - 8)
- 비금속 원소에서 각 원자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산화수는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를 가졌을 때의 산화수
- 옥텟을 이루기 위해얻은 전자수에 (-)을 붙인다.
(3) 화합물에서 1족, 2족, 13족 금속 원자의 산화수는 각각 +1. +2, +3 이다.
(4) 비금속 원자는 결합하는 원자의 전기음성도에 따라 여러가지 산화수를 가질 수 있다.
(5) O 와 F 는 예외
O (원자가 전자수 6개) : 최대 산화수 +2, 최소 산화수 -2
F (원자가 전자수 7개) : 최대 산화수 -1 ---1가지 만 가짐
예) N의 원자가 전자수 = 5개
최대 산화수 = +5 최소 산화수 = 5 - 8 = -3
☜☜ 도움이 되었으면 눌러주세요 ☞☞